- 조건문
- 어떤 연산에 따라서 참 거짓을 얻어냄
- if 문
let a = 3; if(a >= 7){ console.log("7 이상입니다"); } else if(a >= 5){ console.log("5 이상입니다"); } else { console.log("5 미만입니다"); } //주어진 값이 3 //첫번째 if문 false //두번째 else if문 false //세번째 else문 true
- switch 문
let country = "ko"; switch(country) { case:"ko": console.log("한국"); break; case:"en": console.log("미국"); break; case:"jp": console.log("일본"); break; } //주어진 값이 ko //case에 ko가 있으면 break!
- 함수
- 직사각형의 면적을 계산하여 넓이를 console에 출력
- 비효율적인 방법
let width1 = 10; let height1 = 20; let area1 = width1 * height1 console.log(area1); -> 200 let width2 = 30; let height2 = 15; let area2 = width2 * height2 console.log(area2); -> 450 //만약 서로 다른 길이와 높이를 가진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려면 비효율적임
- 함수를 사용한 효율적인 방법
function getArea() { let width =10; let height = 20; let area = width * height; console.log(area); } //함수 선언식 //함수 선언 방식의 함수 생성 getArea(); -> 200 console.log("함수 실행 완료") -> 200 -> "함수 실행 완료" -> 함수식 실행 후 console 진행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function getArea(width,height) { let width = width; let height = height; let area = width * height; return area; } //함수 선언식 //함수 선언 방식의 함수 생성 getArea(100,200); -> 20000 getArea(100,300); -> 30000 getArea(100,400); console.log("함수 실행 완료") //효율적으로 사용가능 //추가로 함수 내부에서 사용한 변수를 지역변수 //외부에서 사용한 변수를 전역변수라고함 //지역변수는 함수안에서만 사용가능 //전역변수는 어디서나 사용가능
'프로그래밍언어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삼향연산자 (0) | 2022.04.04 |
---|---|
[Javascript] Truthy & Falsy (0) | 2022.04.04 |
[Javascript] 자바스크립티 기본 (4) (0) | 2022.04.01 |
[Javascript] 자바스크립트 기본 (2) (0) | 2022.03.31 |
[Javascript] 자바 스크립트 기본 (1) (0) | 2022.03.31 |
댓글